Read it in English here http:///eunice618.tistory.com/231
근막통증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 MPS)은
근육과 근막(근육을 감싸고 있는 얇은 막)에 발생하는 만성적인 통증 질환입니다.
일상에서 자주 쓰는 근육에 ‘트리거 포인트(trigger point)’라고 불리는 압통점이 생기면서 국소 통증과 연관 통증을 유발합니다.
목, 어깨, 허리 등 특정 부위에 국한되지만, 방치할 경우 다른 부위로 퍼질 수 있어 조기 발견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근막통증증후군의 원인은?
근막통증증후군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잘못된 자세: 장시간 앉아 있거나,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사용할 때 고개를 앞으로 숙이는 습관.
- 과사용 및 근육 피로: 특정 근육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거나 무리한 운동.
- 스트레스와 수면 부족: 긴장 상태가 지속되면 근육이 뭉치기 쉬워집니다.
- 외상 및 수술 후유증: 교통사고, 낙상 등 직접적인 외부 충격.
이처럼 신체적, 정신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트리거 포인트가 형성되고, 근육의 긴장과 통증이 생깁니다.
근막통증증후군의 증상
- 눌렀을 때 찌릿하거나 깊은 통증
- 피로감과 뻣뻣함
- 두통, 턱 통증, 허리 통증 등 다른 부위로 퍼지는 연관통증
- 근육 경련 또는 움직일 때의 불편감
이러한 증상은 단순한 뭉침이 아닌 만성 통증의 신호일 수 있으므로, 방치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막통증증후군의 치료 방법
1. 물리치료
- 온열치료, 전기자극치료(TENS), 초음파 치료 등으로 근육 이완을 유도합니다.
2. 도수치료 및 마사지
- 전문 물리치료사가 트리거 포인트를 찾아 직접 눌러 풀어주는 방법입니다.
3. 약물치료
- 진통제, 근이완제 등이 사용되며, 경우에 따라 트리거 포인트 주사요법도 시행됩니다.
4. 체형 교정
- 척추 불균형이나 골반 틀어짐을 교정하면 통증 재발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근막통증증후군에 좋은 운동법
올바른 스트레칭과 근육 강화 운동은 통증 완화와 예방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1. 폼롤러 마사지
- 하루 10~15분 폼롤러를 이용해 등, 허벅지, 종아리 등을 자극하면 근막 이완에 도움이 됩니다.
2. 목과 어깨 스트레칭
- 턱을 당겨 정면을 보고, 천천히 목을 좌우로 기울이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3. 코어 근육 강화
- 허리와 배 주변의 근육을 강화하면 자세가 안정되어 근육 긴장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호흡 운동
- 깊은 복식호흡은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근육 이완에 도움을 줍니다.